09/11-18 청계천
09/11-18 천계천
청계천의 물이 여기서부터 흐릅니다.(동아일보사 앞) < SPAN>청계천의 물이 여기서부터 흐릅니다.(동아일보사 앞)
청계천 새물 맞이에 부쳐
-- 본문 지우고 --
. 서울이여 여원 하라. 2005.10.1. 일천만 시민과 함께
서울특별시장 이 명 박 .(1) 첫 번째 다리 모전교(毛廛橋)이 모전교에는 아래와 같은 글이 쓰여져 있었다. 푸른 하늘 아래 맑은 냇물이 다시 흐른다. 새롭게 태어난 청계천 위에 정성을 다해첫 번째 다리를 놓으니옛 시절 과일을 팔던 모전의 향기가되살아 나는 듯 하다.백운동천과 삼천동천이 만나 청계를 이루듯화합과 소통의 이정표가 되길 기원합니다.2005년 10월1일>첫 번째 징금다리size="3" (2) 광통교칙벽 무늬석>기동 무늬석광교(廣橋)< (3) FONT (3) 광교(4) 장통교(長通橋)(5) 삼일교(三一橋) .(6)수표교(水標橋) (6)수표교(水標橋3>(7) 관수교(觀水橋)>width="560" height="420" alt="" src="http://blogfile.paran.com/BLOG_936379/200910/1256647995_IMG_2787%20%EB%B3%B5%EC%82%AC.jpg"(7) 관수교(觀水橋)
(8) 세운교(世運橋) 세운상가 앞width="560" height="420" alt="" src="http://blogfile.paran.com/BLOG_936379/200910/1256702280_IMG_2836%20%EB%B3%B5%EC%82%AC.jpg"width="560" height="420" alt="" src="http://blogfile.paran.com/BLOG_936379/200910/1256702880_IMG_2838.jpg"
width="560" height="420" alt="" src="http://blogfile.paran.com/BLOG_936379/200910/1256698483_IMG_2839%20%EB%B3%B5%EC%82%AC.jpg"
![]()
(9) 새벽다리
(10) 배오개다리(11) 마전교.
(12) 나래교>
명패가 길바닥에 즐비하다
width="560" src="http://blogfile.paran.com/BLOG_936379/200910/1256703633_IMG_2841%20%EB%B3%B5%EC%82%AC.jpg"
(13) 버들다리
(14) 오간수교(청계천 6가)
(15) 맑은내 다리(동 평화패션타운 앞)
(16) 다산교(茶山橋)
![]()
(17) 영동교(永渡橋)
(18) 황학교(黃鶴橋)(19) 비우당교이곳은 청계천 물과 성북천 물이 만나는 곳. 무거운 짐을 벗고 한가롭게 우두커니 선 교각이 있다.
width="560" height="420" alt="" src="http://blogfile.paran.com/BLOG_936379/200910/1256714640_IMG_2870.jpg"(20) 무학교(無學橋).
style="WIDTH: 560px; HEIGHT: 420px" width="535" height="400" alt="" src="http://blogfile.paran.com/BLOG_936379/200910/1256715819_IMG_2879%20%EB%B3%B5%EC%82%AC.jpg"![]()
(21)두물다리)
(22) 고산자교(古山子橋)
하류로 내려갈수록 피라미 보다는
굵직한 잉어와 원앙새 오리가 노니고 있다.
청계천 다리 이름의 유래 청계천에서 가장 넓은 다리였던 대광통교를 복원했다. 준천사가 설치되어 있었고, 청계천 수위를 관측하던 곳. 배오개길과 연결되는 다리로 길 이름에서 유래했다. 옛 다리 이름으로 다리 부근에 우마를 사고 팔던 마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 인근 동대문 의류 상권이 세계 패션의 1번지로 비상한다는 뜻. 과거 오간수문 상류에 왕버들이 많았다는 데서 유래.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등되어 귀양 갈 때 정순왕후와 이별하여 명명된 옛 다리 이름. 논밭에 황학이 날아왔다는 인근에 위치한 황학동 이름을 따왔다. 세종 때 청백리인 하정 유관 선생이 살던 집인 비우당에서 비롯했다. 청계천과 중랑천이 만나는 두물머리에 세워졌다 해서 붙여진 이름. 다리 이름 위 치 구 분 비 고 모전교 종로구 서린동~중구 무교동 차도교 과일을 파는 ‘모전’이 있었던 곳이다. 광통교 종로구 서린동~중구 다동 보도교 광교 종로구 관철동~중구 삼각동 차도교 광통교가 있던 자리에 새롭게 놓인 다리. 장통교 종로구 관철동~중구 장교동 보도교 조선시대 때 장통방이 있었다. 삼일교 종로구 관수동~중구 수표동 차도교 삼일고가도로에서 이름을 따왔다. 수표교 종로구 관수동~중구 수표동 보도교 청계천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표가 있었다. 관수교 종로구 관수동~중구 입정동 차도교 세운교 종로구 세운상가~중구 대림상가 차도교 지금의 세운상가 가까이에 세운 다리. 배오개다리 종로구 예지동~중구 주교동 차도교 새벽다리 종로구 예지동~중구 주교동 보도교 새벽시장의 활기와 향수를 담은 이름. 마전교 종로구 종로5가~중구 방산동 차도교 나래교 종로구 종로5가~중구 방산동 보도교 버들다리 종로구 대학천남길~중구 을지로6가 차도교 오간수교 종로구 종로6가~중구 을지로6가 차도교 옛 교량 오간수교의 터. 맑은내다리 종로구 창신동~중구 흥인동 보도교 청계천을 순 우리말로 바꾼 이름. 다산교 종로구 창신동~중구 흥인동 차도교 다산로와 인접한 다리로 길 이름을 따왔다. 영도교 종로구 숭인동~중구 황학동 차도교 황학교 동대문구 신설동~성동구 왕십리동 차도교 비우당교 동대문구 신설동~성동구 왕십리동 차도교 무학교 동대문구 신설동~성동구 왕십리동 차도교 무학로와 연결되는 다리로 길 이름을 따왔다. 두물다리 동대문구 신설동~성동구 마장동 보도교 고산자교 동대문구 용두동~성동구 마장동 차도교 고산자로와 연결되는 다리로 길 이름을 따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