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서울사정

09/11-18 청계천

박 영희 2009. 11. 26. 10:51

09/11-18 천계천


최윤식님 하고

최성규님이 보네주셨습니다

청계천 등조형물 전시

청계천의 물이 여기서부터 흐릅니다.(동아일보사 앞)

청계천 새물 맞이에 부쳐

      --  본문 지우고 --
.       서울이여 여원 하라.                         2005.10.1. 일천만 시민과 함께  
                                   서울특별시장  이  명  박  .              
 (1) 첫 번째 다리 모전교(毛廛橋)   
   이 모전교에는 아래와 같은 글이 쓰여져 있었다.   푸른 하늘 아래 맑은 냇물이 다시 흐른다.   새롭게 태어난 청계천 위에 정성을 다해첫 번째 다리를 놓으니 
   옛 시절 과일을 팔던 모전의 향기가되살아 나는 듯 하다. 
   백운동천과 삼천동천이 만나 청계를 이루듯 
   화합과 소통의 이정표가 되길 기원합니다. 
             2005년 10월1일
    첫 번째 징금다리 
    (2) 광통교 
칙벽 무늬석
    기동 무늬석 
 
(3) 광교
(4) 장통교(長通橋)
(5) 삼일교(三一橋) .
     (6)수표교(水標橋) 
(7) 관수교(觀水橋)
      (8) 세운교(世運橋) 세운상가 앞 

(9) 새벽다리


(10) 배오개다리

(11) 마전교.


(12) 나래교

명패가 길바닥에 즐비하다

(13) 버들다리

(14) 오간수교(청계천 6가)


(15) 맑은내 다리(동 평화패션타운 앞)


(16) 다산교(茶山橋)


(17) 영동교(永渡橋)

     (18) 황학교(黃鶴橋)
 (19) 비우당교
   이곳은 청계천 물과 성북천 물이 만나는 곳.    무거운 짐을 벗고 한가롭게 우두커니 선 교각이 있다.
           (20) 무학교(無學橋)                              

.

(21)두물다리)

(22) 고산자교(古山子橋)

하류로 내려갈수록 피라미 보다는

굵직한 잉어와 원앙새 오리가 노니고 있다.

청계천 다리 이름의 유래

다리 이름 위 치 구 분 비 고
모전교 종로구 서린동~중구 무교동 차도교 과일을 파는 ‘모전’이 있었던 곳이다.
광통교 종로구 서린동~중구 다동 보도교

청계천에서 가장 넓은 다리였던 대광통교를

복원했다.

광교 종로구 관철동~중구 삼각동 차도교 광통교가 있던 자리에 새롭게 놓인 다리.
장통교 종로구 관철동~중구 장교동 보도교 조선시대 때 장통방이 있었다.
삼일교 종로구 관수동~중구 수표동 차도교 삼일고가도로에서 이름을 따왔다.
수표교 종로구 관수동~중구 수표동 보도교 청계천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표가 있었다.
관수교 종로구 관수동~중구 입정동 차도교

준천사가 설치되어 있었고, 청계천 수위를

관측하던 곳.

세운교 종로구 세운상가~중구 대림상가 차도교 지금의 세운상가 가까이에 세운 다리.
배오개다리 종로구 예지동~중구 주교동 차도교

배오개길과 연결되는 다리로

길 이름에서 유래했다.

새벽다리 종로구 예지동~중구 주교동 보도교 새벽시장의 활기와 향수를 담은 이름.
마전교 종로구 종로5가~중구 방산동 차도교

옛 다리 이름으로 다리 부근에 우마를

사고 팔던 마전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

나래교 종로구 종로5가~중구 방산동 보도교

인근 동대문 의류 상권이 세계 패션의 1번지로

비상한다는 뜻.

버들다리 종로구 대학천남길~중구 을지로6가 차도교

과거 오간수문 상류에 왕버들이 많았다는 데서

유래.

오간수교 종로구 종로6가~중구 을지로6가 차도교 옛 교량 오간수교의 터.
맑은내다리 종로구 창신동~중구 흥인동 보도교 청계천을 순 우리말로 바꾼 이름.
다산교 종로구 창신동~중구 흥인동 차도교 다산로와 인접한 다리로 길 이름을 따왔다.
영도교 종로구 숭인동~중구 황학동 차도교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등되어 귀양 갈 때

정순왕후와 이별하여 명명된 옛 다리 이름.

황학교 동대문구 신설동~성동구 왕십리동 차도교

논밭에 황학이 날아왔다는 인근에 위치한

황학동 이름을 따왔다.

비우당교 동대문구 신설동~성동구 왕십리동 차도교

세종 때 청백리인 하정 유관 선생이 살던

집인 비우당에서 비롯했다.

무학교 동대문구 신설동~성동구 왕십리동 차도교 무학로와 연결되는 다리로 길 이름을 따왔다.
두물다리 동대문구 신설동~성동구 마장동 보도교

청계천과 중랑천이 만나는 두물머리에

세워졌다 해서 붙여진 이름.

고산자교 동대문구 용두동~성동구 마장동 차도교 고산자로와 연결되는 다리로 길 이름을 따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