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이 가장 위험한 다섯 순간 -

하바드대 연구팀




1. 아침에 눈을 떴을 때
- 심장마비는 아침 시간에 40% 중가한다.
잠에서 깨어난 직후 우리몸의 아드레날린과
스트레스 홀몬 분비때문에
혈압상승, 산소필요량이 증가하고수분이부족하게되어
혈액이 끈끈해지고장박동
공급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임.
- 침대에서 천천히 일어나고,
아침 운동에 앞서 워밍업을 천천히하여 심장 부담을 줄인다.

2. 월요일 아침

- 전체심장마비의 20%가 월요일 아침에 일어난다
휴일을 보내고 업무복귀 한다는 부담감과
스트레스가 악영향을 미친다
- 토.일요일에 늦잠자는 버릇을 없애고
,
충분한 수면을 취하여 월요일 아침일찍일어나는데
부담스럽지않도록 한다
3. 저녁 과식 후
- 포만감으로 심장의 부담감이 가중되고
특히 고지방. 고탄수화물 식사는 혈관을
수축하여피를 엉기게 한다
- 저녁에 과식을 피하고
적정량만 먹는 습관을 들이며 위장 장애가 없으면
매일아스피린을복용하여
혈액이 끈끈해지는것을 막는 것이 좋다.
4. 급격히 운동할 때
- 평소하지 않다가 갑자기 과격한 신체 활동을 할 때 심장에 엄청난 부담이 온다.
-규칙적인 운동으로 신체를 단련하고 운동 강도를 서서히 증가시키며운동 후
약 10분가량스트레칭 등으로마무리하는 습관을 기른다.
5. 긴장상태가 지속될 때
- 심한 근심.걱정 등이 지속되는 것은 심장 건강 관점에서
갑작스런 운동만큼 위험하다.
혈압.심박수.아드레날린 수치가 상승되고온몸이 경직된다
- 심호흡, 스트레스 해소 등으로 긴장을 늦추고,
협심증,혈압 치료제 복용이 도움된다

물을 씹어먹는다' 鶴山님

하루에 한두 잔 정도의 물을

바로 삼키지 말고 입 안에 머금어

침과 잘 섞어준 후에 좋은 차를 음미하듯

스며들게 마시는 것이 물을 씹어 먹는 방법이다.

이렇게 하면 세포의 활력과 신경의 긴장 해소에 좋다
.
즉 뇌에 수분을 공급하여 신경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
입 안이 건조하면 신경 예민, 불안, 불면 등을 겪게 된다.

이를 실천하면 몸과 마음에 활력과

여유를 얻게 될 것이다.

- 박금출의《치아를 보면 건강과 체질이 보인다》중에서

수면은 "암" 에도 영향을 미친다 최윤식님

사람의 면역세포는 밤에 활동합니다.

인간의 몸은 스스로 손상된 세포를 탈락시키고

새로운 세포를 생성 하여 돌연변이가 생기는 것을

방어합니다. 이 과정은 잠을 자면서 전개됩니다.

그리고 이 활동이 가장 활발해지는 시간대가

새벽 1~ 2시 입니다. 그래서 이 시간엔 반드시

잠에 들어 있어야 합니다.

장기 생존율이란 의학적 한도보다 3~5년 이상

생존한 경우를 가리키는 용어. 예를 들어 의학적

잔존 수명을 6개월로 보는 말기 위암 환자의 경우,

환자가 6개월을 넘긴 뒤 3~5년가량 더 살았

다면 장기생존으로 본다.!

수면은 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암 중 에서도 특히 유방암이 수면과 관계가 깊은데,

젊은 여성에게 유방암이 생겼다면 십중팔구는

늦게 자는 사람 입니다.

암을 이기기 위해서는 우선 암세포의 특성을

알아야 합니다. 암세포는 태아세포 입니다. 아주

빠르게 분열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는 얘기죠.

그리고 저 산소 세포 입니다.

그래서 산소 공급이 충분치 않은 상황에서도

대사가 이뤄집니다. 그리고 40도가량의 열에

취약한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현대 의학은 이런

특성을 이용해 간암에 고주파(열) 치료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비용부담 없이 신체에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손쉽게 체온을 상승

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게 바로 登山 입니다.

특히 암세포는 체내에 산소가 부족할 때

생겨납니다. 따라서 암 환자는 항상 풍부한 산소를

공급해 줘야 하는데 등산은 이 점에서 탁월한

효과를 보여 줍니다.

또 등산을 하면 체내 온도가 높아져 온 몸에서

땀이 흘러 나옵니다. 게다가 산행을 통해 정신적

안정을 취할수 있고 삼림욕의 효과도 부수적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1석 4조인 셈이죠.

물은 체내의 나쁜 요소를 씻어내고

정화 하는 데 탁월한 역할을 합니다. 성인

남자의 경우 하루 2리터 가량의 물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요점 :

잠, 햇빛, 등산, 물 입니다.

김용수(대전대 교수·한의학박사)

Posted by 박 영희
,